우리가 항상 입는 옷에 세계사가 숨어 있다!
『식탁 위의 세계사』를 읽은 독자들은 친근한 소재로 시작하는 도입부와 세계사 속 인물과 사건들이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글맛에 흠뻑 빠져 후속작을 손꼽아 기다려 왔다. 『옷장 속의 세계사』는 전작의 재미를 그대로 이어 가면서도 옷이라는 소재의 특성을 반영해 문명 교류의 역사, 과학 기술의 역사, 20세기의 참혹한 전쟁사까지 포괄하는 좀 더 신선한 이야기들을 담았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옷인 청바지 편에서는 이 옷이 원래 19세기 후반 미국의 골드러시 때 사금을 캐는 일꾼들의 작업복으로 탄생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후 청바지의 유래뿐 아니라 미국 서부 개척기 역사로 시야를 넓혀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난사로 이어진다. 트렌치코트 역시 옷의 유래를 먼저 밝히며 시작하는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군인들을 위한 군복으로 처음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짚으면서 참호전의 비참한 실상을 생생히 파헤친다.
전쟁에 얽힌 과학 기술의 역사,
서양사/동양사의 이분법저 구도를 넘어서는 입체적 시선
그런가 하면 비키니 편에서는 ‘비키니’라는 이름이 원래 핵실험이 이루어진 남태평양 섬의 이름에서 따온 것임을 밝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폭 투하 사건을 조명한다. 이때 전쟁 무기를 개발해야 했던 오펜하이머 등 과학자 집단에 초점을 맞추면서, 기존의 청소년 역사서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과학자들의 삶, 전쟁과 과학 기술의 관계 등을 자세히 다룬다.
아울러 독가스를 개발한 과학자 프리츠 하버, 합성 섬유의 왕이라 불리는 나일론을 개발한 화학자 캐러더스 등이 더해지며 그간 청소년 역사서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과학자들의 삶을 부각하는데, 그럼으로써 역사란 단순히 몇 명의 정치가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자리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도 방향지워진다는 엄중한 사실을 청소년 스스로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옷장 속의 세계사』는 서양사와 동양사라는 이분법적인 구도를 거부한다. 비단 옷감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동서 문물의 교류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동양사/서양사로 구분지을 수 없는 입체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고대 중국의 양잠 설화를 다루다가도 곧이어 로마 사람들이 비단을 얻으려 무역로를 개척하기 위해 노력한 사건들을 등장시키는 식이다. 양복 편에서도 히로히토 황세자가 양복을 입고 있는 사진을 통해 서양을 모방하려 했던 일본 근대화의 욕망을 읽어 내고, 저자는 오늘날 서양식 복식이 일상적이 되었지만 앞으로 좀 더 우리다운 모습을 찾아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을 맺는다.
친근한 서술, 생생한 사진, 자꾸만 손이 가는 책
『옷장 속의 세계사』는 10여 년간 교직에 몸담았던 저자가 세 아이의 엄마로서 자녀들에게 친근하게 말을 건네듯 서술하는 이야기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 덕분에 역사를 외울 것 많고 지루하다고만 느껴 온 독자들에게 쉽게 손이 가는 책, 자꾸 더 읽고 싶은 책으로 새롭게 다가간다.
50여 컷의 사진 자료도 눈길을 끈다. 예를 들어 ‘프라하의 봄’이 진압되던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당시의 기록 사진을 수록해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생생히 느껴 볼 수 있게 했다. 재미와 정보를 두루 갖춘 『옷장 속의 세계사』는 세계사를 어렵게만 느끼던 청소년 독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와 교사, 학부모들에게도 매력적인 책이 될 것이다.
Changbi Publishers
1967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 명덕외국어고등학교와 필리핀 사우스빌 국제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쳤다. 지은 책으로 제2회 창비청소년도서상을 수상한 『식탁 위의 세계사』,『옷장 속의 세계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