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제도 진화의 경제적 연구

· 휴머니스트
សៀវភៅ​អេឡិចត្រូនិច
496
ទំព័រ

អំពីសៀវភៅ​អេឡិចត្រូនិកនេះ

어째서 사람들은 부를 과시하도록 진화했는가


과시적 소비와 여가를 일삼는 유한계급의 본질을

역사적 · 진화론적으로 파헤친 문제적 텍스트의 귀환


오마카세, 파인 다이닝, 호캉스…. ‘명품을 소비하는 청년 세대’와 관련된 말이 곳곳에서 흘러나온다. 주머니 사정 빤한 사람들이 왜 그렇게 무리해서 지출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과, SNS를 통해 자기를 전시하는 게 당연한 문화 속에서 나름 합리적인 소비라는 입장이 엇갈린다. 경제성장의 속도가 갈수록 주춤해지고 사회 전반적으로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해지는 지금, 오마카세 같은 ‘과시적 소비’가 부상하고 있다. 어째서 사람들은 자신의 재정적 여력을 꼼꼼히 따지면서도 비싼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기꺼이 돈을 쓸까? 그저 유명인을 따라 하는 게 일상이 된 사회의 일시적 현상인 걸까?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쓴 『유한계급론』은 1899년 출간 이래 자본주의 사회를 풍자하는 우화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많은 이가 부자들의 과시적 소비 행태를 거리낌 없이 묘사한 베블런의 글에 매료되었고, 이 책을 부유한 계급의 약탈적인 행태와 대기업의 횡포, 부와 소득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사회에 돋보기를 댄 ‘소비의 사회학’으로 읽었다. 하지만 베블런이 주목한 것은 인간이 어떤 경로로 특정한 제도를 형성하고 또 제도의 진화 속에서 자신들의 본성을 발현하거나 억제해왔느냐 하는 점이었다. 『유한계급론』의 부제가 ‘제도 진화의 경제적 연구’인 이유다.


그런 점에서 『유한계급론』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미국 사회를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베블런은 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에서 왜 유한계급처럼 약탈적이고 기생적인 계급이 출현하고, 많은 사람이 계급 격차에도 불구하고 유한계급의 소비 행태인 과시적 소비를 모방하는지 역사적이고 진화론적으로 면밀하게 분석했기 때문이다. 휴머니스트에서 새로 출간한 『유한계급론』은 대안적 경제를 꾸준히 고민해온 경제학자 박종현 교수가 원문의 의미를 최대한 살려 번역하고 『유한계급론』에 대한 최신의 연구를 풍부한 역주와 해설에 반영해 재탄생한 것이다. 독자들은 오늘날의 소비 행태와 인간 본성을 재기 넘치게 파헤친 이 책을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더 통찰력을 발휘하는 고전의 힘을 느낄 수 있다.

អំពី​អ្នកនិពន្ធ

미국의 경제학자. 1857년 7월 30일 위스콘신주 케이토에서 노르웨이 이민자들의 열두 아이 중 여섯째로 태어났다. 1874년 칼턴칼리지에 입학해 신고전파 경제학의 거두 존 베이츠 클라크에게서 배운 뒤, 1881년 존스홉킨스대 대학원에서 철학과 경제학을 공부했고 1882년에는 예일대 대학원에 입학해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891년에는 코넬대 대학원에 들어가 두 번째 박사 학위에 도전했다. 1899년 첫 책 《유한계급론》을 출간하면서 학계와 대중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다. 시카고대학을 거쳐 스탠포드대학의 교수로 일했지만, 스캔들의 대상으로 낙인찍히면서 1909년 스탠포드대학에서 퇴출되었다. 1911년 미주리주립대학 경제학과에 자리 잡은 베블런은 제1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달했던 1917년, 전후 평화의 조건을 분석하고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자문을 제공하는 학자 그룹에 참여했다. 2년여간 여러 직장을 전전하던 베블런은 1919년 존 듀이와 함께 뉴욕에서 뉴스쿨을 세우는 데 참여했고, 1926년까지 그곳에서 가르쳤다. 1929년 8월 3일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에서 세상을 떠났다. 《유한계급론》 외의 대표작으로 《영리기업론》, 《장인 본능: 그리고 산업 기술의 상태》, 《미국의 고등교육》, 《최근의 부재소유권과 영리기업》 등이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함께 공부하고 있다. 경제학이 올바른 종류의 욕구를 향해 나아가도록 도울 수 있는지, 목적의 옳고 그름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지를 탐색하다가 베블런과 만났다. 그와의 만남을 통해 경제학이 도덕철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인간행동과학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찾아야 할지를 새롭게 깨달아가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마르크스의 화폐이론과 케인스의 금융이론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부터 국회도서관 금융담당 연구관으로 일하면서 입법 및 정책 생산 과정을 관찰했다. 2006년부터는 진주에서 화폐금융론과 경제학사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회연대경제 분야에서 좋은 삶의 가능성을 찾고 있다. 《케인즈 & 하이에크: 시장경제를 위한 진실게임》을 썼고 소스타인 베블런의 《미국의 고등교육》, 캐리 폴라니 레빗의 《거대한 전환에서 거대한 금융화로》, 브루노 S. 프라이의 《행복: 경제학의 혁명》 등을 함께 옮겼다.

វាយតម្លៃសៀវភៅ​អេឡិចត្រូនិកនេះ

ប្រាប់យើងអំពីការយល់ឃើញរបស់អ្នក។

អាន​ព័ត៌មាន

ទូរសព្ទឆ្លាតវៃ និង​ថេប្លេត
ដំឡើងកម្មវិធី Google Play Books សម្រាប់ Android និង iPad/iPhone ។ វា​ធ្វើសមកាលកម្ម​ដោយស្វ័យប្រវត្តិជាមួយ​គណនី​របស់អ្នក​ និង​អនុញ្ញាតឱ្យ​អ្នកអានពេល​មានអ៊ីនធឺណិត ឬគ្មាន​អ៊ីនធឺណិត​នៅគ្រប់ទីកន្លែង។
កុំព្យូទ័រ​យួរដៃ និងកុំព្យូទ័រ
អ្នកអាចស្ដាប់សៀវភៅជាសំឡេងដែលបានទិញនៅក្នុង Google Play ដោយប្រើកម្មវិធីរុករកតាមអ៊ីនធឺណិតក្នុងកុំព្យូទ័ររបស់អ្នក។
eReaders និង​ឧបករណ៍​ផ្សេង​ទៀត
ដើម្បីអាននៅលើ​ឧបករណ៍ e-ink ដូចជា​ឧបករណ៍អាន​សៀវភៅអេឡិចត្រូនិក Kobo អ្នកនឹងត្រូវ​ទាញយក​ឯកសារ ហើយ​ផ្ទេរវាទៅ​ឧបករណ៍​របស់អ្នក។ សូមអនុវត្តតាម​ការណែនាំលម្អិតរបស់មជ្ឈមណ្ឌលជំនួយ ដើម្បីផ្ទេរឯកសារ​ទៅឧបករណ៍អានសៀវភៅ​អេឡិចត្រូនិកដែលស្គា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