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 Moonye
5.0
1 review
Ebook
492
Pages

About this ebook

19세기 미국 경제학자가 쓴 책 중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책으로 인정받는 《유한계급론》이 박홍규 교수의 번역으로 문예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금전적 이익의 추구가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베블런만큼 정확하게 본 사람은 없었다”라는 미국의 경제학자 갤브레이스의 평가처럼, 베블런은 자본주의 경제와 사회 체제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여전히 꼭 읽어야 할 사상가이기도 하다. 비싼 제품일수록 물건의 질이 더 좋기 때문에 잘 팔린다고 설명하는 기존 경제학자들과 달리 베블런은 부유한 유한계급은 자신의 명성을 과시하기 위해 비싼 제품을 구입한다고 분석했고, 이러한 분석은 오늘날 사람들의 과시적 소비 형태를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그러나 베블런이 아직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인용되는 이유는 19세 말 당시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던 《유한계급론》이 현대의 자본주의를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다는 점에 있다. 과시적 소비나 유한계급을 철저히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건강한 현대 사회를 지향한 사회 비판가로서 베블런의 삶과 사상을 통해,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atings and reviews

5.0
1 review

About the author

(Thorstein Veblen, 1857~1929) 1857년 미국 위스콘신 주 노르웨이 이민자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베블런은 칼턴대학을 졸업하고 1881년 존스홉킨스대학과 예일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다. 예일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1891년 코넬대학에서 다시 경제학을 공부한 베블런은, 1892년 시카고대학에 전임강사 fellow로 부임하며 사회주의를 강의하고 많은 글을 쓰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899년 첫 책 《유한계급론》을 펴냈고, 이 책의 명성 덕분에 1900년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시카고대학을 사임한 베블런은 스탠퍼드대학 (1906년)과 미주리대학 (1911년)에서 강사로 지내며 《일하기 본능과 산업적 기술의 상태(The Instinct of the Workmanship and the State of Industrial Arts)》 (1914)와 《미국의 고등교육(The Higher Learning in America)》 (1918)을 집필했다. 미주리대학을 그만둔 베블런은 1919년 뉴욕의 사회과학원에서 다시 강사로 채용되었으나 오래 다니지 못했고 잡지에 글을 기고하며 생활을 꾸렸다. 1923년 마지막 저서인 《부재 소유제와 최근의 기업(Absentee Ownership and Business Enterprise in Recent Times)》을 발표했다. 1924년 젊은 학자들이 베블런을 미국경제학회 회장으로 추대하려고 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오두막에서 살다가 1929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