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의 건강보장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E-Book
272
Seiten

Über dieses E-Book

Autoren-Profil

몸의 경험을 중심으로 삶과 정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는 인류학자이다. 보건 의료, 빈곤, 이 주 노동, 젠더와 섹슈얼리티, 교환 및 가치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태국과 한국에서 현장 연구를 해왔다. 2013년에는 비판적 의료인류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연구에 주어지는 Rudolf Virchow Award(Graduate Category)를 수상한 바 있으며, 2020년에는 “Populist Becoming: The Red Shirt Movement and Political Affliction in Thailand”라는 논문으로 미국문화인류학회의 Cultural Horizons Prize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Patient Waiting: Care as a Gift and Debt in the Thai Healthcare System”, “Caring for Premature Life and Death”, “‘역량강화’라는 사회과학의 비전”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Eliciting Care: Health and Power in Northern Thailand, 『마스크가 답하지 못한 질문들』(공저), 『아프면 보이는 것들』(공저)이 있다. 현재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에서 민주화 시기 인도네시아 노동운동에 관한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강대 동아연구소와 한국동남아연구소를 거쳐 현재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고, 전북대 동남아연구소 소장과 동아시아·다문화융복합연계전공 주임교수를 겸하고 있다. 최근 연구 성과로 『한국의 동남아시아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 『동남아시아 농업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공요인 분석』, 『인도네시아 노동체제와 한국기업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 시민사회의 동남아시아연대운동』, 『코로나 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별 초기 대응과 초국적 협력에 관한 연구』 등을 함께 저술한 바 있다.

호주국립대학에서 인도네시아 자바 농촌의 사회종교적 변화에 관한 논문으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연구 성과로 『이슬람과 민주주의: 인도 네시아 이슬람 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호혜성, 공공성, 공동 체의 인류학』 (공저), 『히잡은 패션이다: 인도네시아 무슬림여성의 미적 인식과 실천』 등이 있다.

연세대에서 베트남 북부와 남부 농촌 마을의 보건소와 비공식 복지 비교에 관한 논문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베트남학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연구 성과로 “베트남 2021: 새 임기 지도부 출범과 코로나19 4차 유행이 남긴 과제”, “코로나19 대응에 왜 베트남은 성공하고 필리핀은 실패했는가: 규율 메커니즘의 비교분석”, “베트남의 코로나19 대응: 감염병 위기관리체계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대학원에서 미얀마 새마을운동 ODA 사업에 관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동남아 문화 돋보기』,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새로운 한인 사회의 형성과 확장 가능성』 등의 저서를 공저로 출간하였고, 논문으로는 “국제개발프로젝트를 둘러싼 미얀마 농촌마을의 정치과정”, “미얀마 2019: 로힝자 위기 이후 국제관계의 변화와 총선을 향한 정치과정”, “위기와 기회: 미얀마의 코로나19 대응 특징과 정치적 함의”, “싱가포르의 이원적 코로나19 방역 전략과 그 함의” 등이 있다.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대학원에서 홍콩의 사회적 경제 운동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싱가포르로 연구지역을 확장하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사회운동, 시민사회, 이주노동이다. 최근 연구 성과로는 “#MilkTeaAlliance: 온라인 반권위주의 동맹의 함의와 국제연대의 가능성”,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이주노동자 지원활동의 현황과 특징”, “홍콩식 사회주택(社會房屋)의 정치학: ‘책임감 있는 시민’과 ‘의존-자립의 공동체’ 만들기” 등이 있다.

네브라스카 주립대에서(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국가들의 국제난민보호규범 이행에 관한 논문으로, 인권학(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Affairs) 전문의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타와 대학의 인권교육및연구센터(Human Rights Research and Education Centre, University of Ottawa) 에서 박사 후 방문연구원 과정을 거쳐, 현재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연구 성과로 “난민네트워크의 세력화가 난민의 건강권에 미치는 영향: 로힝자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 “요르단의 난민 정치학: 인권정책으로 살아남는 법”, “The Role of International Intervention in Managing Refugee Crises: Lessons from Vietnamese and North Korean Refugee Cases in China”가 있다.

Dieses E-Book bewerten

Deine Meinung ist gefragt!

Informationen zum Lesen

Smartphones und Tablets
Nachdem du die Google Play Bücher App für Android und iPad/iPhone installiert hast, wird diese automatisch mit deinem Konto synchronisiert, sodass du auch unterwegs online und offline lesen kannst.
Laptops und Computer
Im Webbrowser auf deinem Computer kannst du dir Hörbucher anhören, die du bei Google Play gekauft hast.
E-Reader und andere Geräte
Wenn du Bücher auf E-Ink-Geräten lesen möchtest, beispielsweise auf einem Kobo eReader, lade eine Datei herunter und übertrage sie auf dein Gerät. Eine ausführliche Anleitung zum Übertragen der Dateien auf unterstützte E-Reader findest du in der Hil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