碧血鳴에 이은 홍파(洪波) 武道小說 第二話 劍后의 神劍은 부러졌다! 武林聖女가 타락한 몸뚱이로 밤(夜)을 찾는다. 刀帝는 왜 愛刀를 洞庭湖에 내던지고 주정뱅이가 됐는가? 武林의 巨星들! 正邪十八尊이 어느날 과거를 잃었다! 그리고 庚辰년 辰月 辰日 辰時에 태어난 두 사람의 뒤바뀐 運命. 廣恨宮에서 시작된 巨大한 陰謀! 이제 孤劍鳴의 숨가쁜 歷程이 始作된다. * 序 章 天機漏泄 곡생(曲生)은 허기로 뱃가죽이 달라붙는 것 같았다. 방안이며 부엌을 뒤져 요기할 것을 찾아보았지만 배를 채워 줄 만한 음식은 없다. 옆방에서 배고파 우는 손자의 울음소리도 힘없이 잦아들고 있다. 말라붙은 솥뚜껑을 덮고 일어서는 곡생은 땅이 꺼져라 한숨을 토해냈다. "지지리 복도 없는 놈이지." 올해로 일흔 다섯 번의 한서(寒暑)와 풍파를 겪어 온 곡생. 얼굴에 새겨진 골 깊은 주름살이 질곡(桎梏)의 삶을 말해 주고 있다. 곡생의 집안은 삼대(三代)째 가난을 운명처럼 짊어지고 살아왔다. 자식에게만은 곤궁한 삶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맹세도 물거품이 된 지 오래다. "가업은 무슨 얼어죽을 놈의 가업이야." 곡생은 아침을 굶은 화풀이로 죽통(竹桶)과 동전 꾸러미를 방바닥에 팽개쳤다. 발 밑에 난잡하게 흩어진 동전과 죽통을 바라보는 곡생의 눈에 갈등의 빛이 역력했다. 일흔다섯 인생이 담긴 손때 묻은 죽통과 동전이다. 그나마 이것도 없으면 손자 놈의 입에 풀칠을 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곡생은 바닥에 앉아 죽통에 동전을 주워 모았다. "그 놈의 돈이 뭔지?" 가업으로 이어받은 점술(占術)로 다섯 식구가 살아가기란 쉬운 게 아니다. 세상이 태평해서인지 점을 보겠다고 찾아오는 사람이 한 달에 고작 한 명 꼴이다. 가뭄에 콩 나듯 찾아온 손님도 복채(卜債)를 부르면 고개를 젖고 발길을 돌리기가 십상이다. "하룻밤 계집년 품에 털어 넣는 돈이 얼만데." 육십이 다된 한숭(韓崇)이란 늙은이는 얼마 전 백화루(百花樓)의 기녀(妓女)를 하룻밤 끌어안고 뒹군 대가로 황금 세 냥을 날렸다며 곡생의 기를 죽였다. 죽통을 들고 일어선 곡생은 그 자리에 얼어붙고 말았다. 대체 언제 어디서 나타났는가?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곡생의 코 앞에 한 명의 여인이 고요하고 정숙한 자태로 서 있는 게 아닌가. 관능적이며 원시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미녀(美女). 흑백이 또렷한 한 쌍의 눈은 지적일 정도로 맑게 빛나고 있었으며 코와 입을 연결하는 삼각 구도는 흠 잡을 데 없다.
Series
Fiction & literature
About the author
저자 소개글이 없습니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