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지 않은 유머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는 생활비와 학비를 벌기 위해 대중이 원하는 스타일의 작품을 써야만 했으므로 글은 가볍고 간결하다. 그는 ‘안토샤 체혼테’, ‘내 형의 동생’, ‘쓸개 빠진 놈’의 필명을 사용해서 1865년부터 발행된 ≪자명종≫을 비롯한 유머 잡지에 단편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그는 이 시기에 러시아의 사회문제를 흥미롭게 풍자하는 소품 형식인 푀이통(feuilleton) 장르와 패러디 작품을 써서 인기 있는 유머 작가가 되었는데, 이 시대를 그의 필명 중 하나를 따서 “체혼테 시대”라고 부른다. 체호프는 당시 1년에 100편 이상의 작품을 썼는데, 1880년부터 1887년까지 발표된 작품 중 훌륭한 것들을 선정해 실은 것이 바로 ≪체호프 유머 단편집≫이다. 1880년대 후반의 체호프의 작품들은 초기에 썼던 가벼운 유머 작품들과 초기 단편들의 순수한 웃음에서 점점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다. 즉, 유머가 풍자적인 성격을 띠게 되고, 웃음이 비극적인 색채를 띠게 된다. 체호프는 자신의 작품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묘사하면서, 인간의 우스꽝스럽고 비극적인 모습을 독자에게 보여 주는 글쓰기 방법을 통해 독자의 관심을 끈다.
<이웃 학자에게 보내는 편지>(1880)는 그야말로 작품 전체가 한 통의 편지 형식이란 점이 특징으로, 주인공은 이웃의 학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자신의 과학적 발견들을 은근히 자랑하는 우스꽝스럽고 현학적인 태도를 보인다.
<재판>(1881)은 인권을 무시하고 짓밟는 한 가장의 폭력 행위를 통해 19세기 말 러시아의 권위주의적이고 폭력적인 사회를 유머러스하게 비판하면서 풍자하고 있다.
<만남이 이루어졌다 할지라도…>(1882)는 주인공이 자신의 술주정과 거짓말로 인해 소냐에게 퇴짜를 맞는 이야기다.
<이발관에서>(1883)는 등장인물들이 행위를 하고 사건이 벌어지는 구체적인 공간적 배경에 해당하는 ‘이발관’을 작품명에 반영했다. 이는 체호프가 등장인물의 일상생활을 주요 소재로 해서 작품을 즐겨 썼다는 사실과 긴밀히 연관된다. 그 밖에 이 책에서 <바냐에서>(1885) 역시 등장인물들의 행위 공간인 대중목욕탕 바냐를 작품명에 반영해서, 19세기 말 러시아 처녀 총각들의 결혼 문제와 연관된 세태를 유머러스하고 날카롭게 풍자하고 있다.
<뚱보와 홀쭉이>(1883)는 희극적이고 예기치 않게 갑자기 끝나는 결말이란 구성 원칙을 바탕으로 사회와 인간을 날카롭게 풍자하는 유머러스한 작품이다. 또한 의인화를 통한 등장인물들의 심리 변화의 외면적 묘사가 두드러지고, 이는 부자연스럽고 긴장된 상황과 분위기를 한층 더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 책에서 체호프의 유명한 풍자적 걸작들 중 하나인 <카멜레온>, <말[馬]의 성(姓)>도 역시 같은 유형이다.
<프리시베예프 하사>(1885)는 주위 사람들을 감시하고 구속하며 괴롭히는 폐쇄적이고 하찮은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풍자한다.
<부인들>(1886)은 사모님들의 취직 청탁을 비판한다.
Ilukirjandus ja kirjan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