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 사회신경과학으로 본 인간 본성과 사회의 탄생

·
· 민음사
4.0
8 reviews
Ebook
124
Pages

About this ebook

외로움은 인류 진화의 결정적 요인이다

사회신경과학의 창시자가 밝히는 외로움에 관한 모든 것


왜 인간만이 ‘외로움 유전자’를 갖고 태어날까?

인류의 뇌가 상대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진화하고 

소통의 기술이 발달한 것은 바로 이 외로움을 피하기 위함이다

즉 외로움 유전자는 우리를 사회적 인간으로 만든다


외로움은 단순한 감정적 결함이 아니라, 신체 건강과 판단력 같은 뇌 기능을 손상시켜 사회적 성공에도 큰 장애가 된다. 즉 “사회에서 고립됐다고 만성적으로 느끼는 상태"는 정서적 불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면역력을 약화시키며 신체 발육을 늦춘다. 또한 과도한 외로움은 치매 발병율을 높이고 노화를 촉진하며 스트레스 조절 기능을 마비시키고 심장질환까지 유발하는데, 그 악영향은 담배나 비만, 고혈압보다도 더 치명적일 수 있다. 어째서 외로움은 이토록 인간에게 심각한 해악을 끼치는가? 왜냐하면 인간은 외로움을 피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 이처험 외로움은 인류의 물리적 생존 및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우리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외로움’을 넘어 사회적 유대감을 이뤄야 한다. 우리는 신체적으로 고통을 주는 위험을 피하는 것처럼 사회적으로 외로움을 주는 상태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유대감이라는 보호망이 손상되었을 때 이를 인지시켜 주는 것이 외로움인 것이다. 즉 외로움은 타인에게 손을 내밀고 끊어진 관계를 복원하도록 촉구하는 자극제다. 우리가 이 ‘외로움'의 실체를 제대로 이해할 때 비로소 외로움을 극복하고, 인간의 본성과 사회를 바로 볼 수 있다.

Ratings and reviews

4.0
8 reviews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