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파리를 세계의 중심지로, 현대적 도시로 바꾸려는 오스망의 야심 찬 파리 개발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의 투기 열풍에 대해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동시에, 제2제정하의 파리 상류층의 도덕적 타락, 배금주의와 육체적 욕망에 관해 이야기한다. 또한 대규모 파리 개발 계획과 이로 인해 태어난 벼락부자들의 사치스러운 행각들, 제정의 비윤리성과 수치스러운 행태들을 놀랄 만치 섬세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읽기 쉬우면서도 인상적인 작품
≪쟁탈전≫의 초안에는 ‘야심과 욕망의 혼란’, ‘식욕과 야심의 대향연’, ‘투기의 광태’, ‘조숙한 젊은이들의 어리석고 방탕한 생활’, ‘극도의 사치’, ‘지나치게 조숙한 머리와 육체로 타락하는 사람들’이라는 문구가 나타난다. 이 소설은 졸라의 첫 번째 소설 ≪루공가의 운명≫이 끝나기 전에 구상되었지만, 프러시아와의 전쟁, 파리코뮌으로 쓰는 것이 늦어진다. 소설은 1871년 9월 29일부터 <라 클로슈>지에 연재됐으며, 1872년 제정이 무너진 후 책으로 나온다. 신문 연재소설의 특성상 에피소드와 중요 장면에 따라 이야기가 나뉘는 경향을 보이며, 독자들의 관심을 계속 끌기 위한 서스펜스 효과도 강조된다. 또한 이야기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연결성을 보완하기 위해 중요 장면은 반복되어 나타나면서 독자들의 기억을 상기시킨다. 앙젤의 죽음이나 근친상간의 발견과 같은 장면에서는 멜로드라마적인 요소도 엿보인다. 이런 특성들이 발달한 것은 감각적 충격을 원하는 대중의 관심을 끌어야 하는 신문 연재소설로서 읽기 쉬우면서도 인상적이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내면 심층에 자리 잡은 정신 현상에 대한 집요한 추적
졸라는 이 작품에 극도의 정확성과 놀랄 만한 입체감을 주려고 했으며 성공을 확신했다. 그러나 1871년 파리코뮌이 들어선 상황의 여파 때문인지 예상과 달리 대중의 눈길을 끌지 못했다. 이 작품은 4년 후 ≪목로주점≫의 성공 이후 다시 비평가들의 눈을 끌게 되면서 찬사를 받았다. 지금도 ≪루공마카르 총서≫ 중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군으로 분류되며 주제와 모티브들이 서로 얽혀 있는 졸라의 복잡하고 정교한, 그리고 완벽한 건축물의 좋은 예로서 ‘현실 세계의 전형적인 현상들을 환상적으로 투사시킨 소설-시’로 표현된다. 사실적인 묘사에서도 신화적 차원이 돋보인다. 여주인공 르네의 모습은 에코 요정과 페드르로, 파리는 지옥의 불이나 용광로 또는 악인으로 묘사되면서 저주받은 도시라는 신화와 연결된다. 황금과 육체 이외에도 다른 주제들, 불, 물, 식물의 성장을 상징하는 구조는 인간에 내재된 심층적 욕망들과 연결되면서, 사회와 역사를 풍자하는 이 작품에서 환상이라는 뜻밖의 세계를 만나게 한다. 나아가 내면 심층에 자리 잡은 정신 현상에 대한 집요한 추적이 엿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