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부터 고려의 북방 강역, 사육신의 진실까지
잃어버린 역사를 복원하는 이덕일의 다시 찾는 한국사
우리는 역사를 도둑맞았다. 무지와 무관심으로 중요한 사실이 누락되고 왜곡과 날조에 의해 조작된 역사가 온전한 한국사로 둔갑했기 때문이다. 과연 우리가 빼앗긴 역사는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되찾고 지켜야 할까? 올바른 역사 해석으로 역사 인식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해 온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이 책에서 도둑맞은 채 숨겨진 가장 비밀스러운 우리 역사를 찾아 나선다. 단군은 그저 신화 속 인물일까? 진시황의 만리장성은 평양까지 내려왔는가? 고려는 압록강과 두만강도 차지하지 못한 나라일까? 사육신을 일곱 명이라고 우기는 자들은 누구인가? 이처럼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단 한 번도 배우지 못한 역사적 진실을 하나씩 소개하며, 거짓과 진실을 구분하는 역사적 소양과 판단력을 제공한다.
왜곡과 날조를 바로잡아 한국사의 본모습을 복원하려는 진정한 역사학자. 1997년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를 시작으로 세상에 이름을 알렸다. 그는 역사학자로서 사료를 철저하고 세심하게 고증하고, 집필가로서 본능적인 감각과 날카로운 문체로 대중과 소통하며 한국사에서 뒤틀린 가장 비밀한 부분을 건드려왔다. 권위와 기득권을 거부하며 주류 학계에 편입되지 않고, 그들이 외면하거나 감히 드러내지 못하는 치부를 적나라하게 폭로하여 대중의 지지와 인기를 얻었다. 신문, 잡지 기고와 강연 등을 통해 대중을 역사 현장으로 이끄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학자이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이덕일의 한국통사』, 『조선 왕 독살 사건』, 『조선왕조실록 1~5』(10권까지 근간),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조선 왕을 말하다』, 『근대를 말하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