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수비오 화산 폭발부터 코로나19까지, 세상을 바꾼 재난의 역사
재난을 맞이한 인류는 어떻게 극복하고 진보해왔을까? 또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각종 재난은 어떻게 역사적인 변화를 이끌어냈을까? 온갖 신체적인 피해, 정신적인 충격, 물질적인 타격을 받았지만 인류는 이에 굴하지 않고 결국에는 다시 일어섰다. 부상과 질병에 대비해 치료 기술을 발전시켰고, 화재에 대비해 방화벽을 설치하고 소방 훈련을 했으며, 감염병에 대응해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했다. 이 밖에도 인간은 다양한 안전 제도와 재난을 대처할 방법을 만들어 대비했다.
이 책은 2,000년 동안 벌어진 화산 폭발, 지진, 감염병, 산업재해, 운송수단 사고, 생태계 파괴, 이상기후, 디지털 사고, 팬데믹 등 각종 재난의 역사를 살펴보고, 재난의 공포 속에서도 생존의 답을 찾았던 인간의 분투를 이야기한다. 동서양을 아우르는 세계화의 역사에 관심을 쏟아온 저자는 국내서로는 최초로 ‘재난’을 테마로 한 역사교양서를 집필했다. 세상을 바꾼 다양한 재난들을 크게 자연재난, 인공재난, 시스템재난으로 구분해 서술했으며, 각 재난의 역사 외에도 재난과 관련된 인문(신화, 신앙, 문학), 사회(구호 정책, 산재입법, 공조체제), 자연과학(지질, 지구 구조, 기후), 의학(감염병, 치료법, 예방법) 등 다각도에서 재난의 이면을 들여다본다.
저 : 송병건
평범한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는데 전공과 관련된 책보다 역사책을 더 즐겨 읽었다. 대학교를 졸업한 뒤 영국의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사를 공부했고, 산업혁명 시기 영국 경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3년 동안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2000년부터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제사를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세계 경제 질서의 역사, 서구의 역사적 인구 변화, 노동시장과 복지정책, 직업의 변천, 재난과 안전의 역사, 경제 위기 등이다. 근래에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세계화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학술적인 저술과 강의에 머무르지 않고, 대중을 위한 글쓰기와 비주얼 자료를 활용하는 강연 활동에도 마음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 『세계사 추리반』, 『세계화의 단서들』, 『세계화의 풍경들』, 『비주얼 경제사』, 『지식혁명으로 다시 읽는 산업혁명』, 『산업재해의 탄생』, 『경제사: 세계화와 세계경제의 역사』, 『세계경제사 들어서기』, 『영국 근대화의 재구성』 등이 있다. 이 중 여러 권이 해외에서 번역 출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