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라는 소설 한 권을 통해 톨스토이의 드넓은 문학 세계와 인생론을 이해하고자 시도하는 책이다. 이 책은 『안나 카레니나』가 톨스토이가 중년의 위기를 겪은 후 ‘회심’을 계기로 ‘위대한 대문호’에서 ‘세기의 현자’로 거듭나게 되는 인생의 전환기를 예고하는 작품이라고 말하면서 『안나 카레니나』를 통해 그의 사랑, 결혼, 종교, 윤리, 예술, 죽음, 인생에 관한 생각을 살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톨스토이는 왜 안나 카레니나를 죽였을까?’라는 물음을 던진다. 안나의 이야기는 허위로 가득 찬 사교계의 희생물인 비련의 주인공들, 안나와 브론스키의 로맨틱하고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는 소설이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가?’, 즉 바른 삶, 도덕적인 삶에 관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라 주장하면서 시대를 초월하는 근본적인 가치와 진리에 이르는 길을 톨스토이는 이 작품을 통해 안내하고 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안나 카레니나』를 중심으로 톨스토이의 대표적인 문학작품들과 인생 지침서들, 그리고 모순적인 생애를 넘나들면서 그의 문학으로 인생론까지 들여다보고 21세기에도 유효한 거장의 충고를 깊이 있게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프롤로그 Ⅰ 톨스토이는 왜 안나를 죽였나? 프롤로그 Ⅱ 『안나 카레니나』 줄거리와 등장인물 제I부 나쁜 삶 1_ 나쁜 사랑 소피 마르소와 안나 카레니나 디테일에 강하다 브론스키 ‘선수’ 리틀 블랙 드레스 엽기 남녀상열지사 성병 클리닉 비곗덩어리와의 정사 육체와의 전쟁 외모 콤플렉스 사랑에 목숨 걸지 마라 부부처럼 사는 연인들 2_ 나쁜 결혼과 아주 나쁜 결혼 남자의 바람기 여자의 대리 만족 이혼의 한계 ‘침실의 비극’ 나쁜 결혼도 꽤 오래간다 ‘죽음이 그대들을 갈라놓을 때까지’ ‘소울 메이트’의 등장 요란한 가출 ‘콩가루 집안’ 최악의 결혼 3_ 좋은 결혼 가정의 행복 부부 일심동체? 눈빛으로 통한다 남자만을 위한 결혼 자식은 속죄양인가? 암소 부인 좋은 결혼은 없다 제2부 좋은 삶 1_ 채소만 먹자 육식과 육식성 인간 채식과 채식성 인간 식사는 도락이 아니다 도축장에서 술을 끊자 담배도 끊자 행복한 밥상 2_ 시골에서 살자 도시, 타락의 공간 귀농과 전원생활 풀베기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공산주의냐, 톨스토이주의냐 ‘톨스토이표’ 실용 3_ 예술을 박멸하자 예술과 도덕 치명적인 바이러스 알 수 없는 예술은 싫다 포르노 예술의 해악 예술은 없다 4_ Memento Mori 피할 수 없는 죽음의 공포 자살의 문턱에서 종교의 한계 파문 ‘톨스토이교’ 에필로그_ 어떻게 살 것인가 참고문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