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정판은 국내 유일의 에스빠냐어판 완역결정판으로서 초판에서의 단순 편집상 오류를 모두 바로잡고 우리말 표현과 각주 등을 세심하게 다듬었으며 가격을 낮춘 반양장본으로 제작해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했다.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에스빠냐어판 완역본 인간의 본질을 통쾌하게 꿰뚫는 서구 최초의 근대소설 [돈 끼호떼](전2권) 개정판 출간 에스빠냐의 대문호 미겔 데 세르반떼스가 1605년 "기발한 시골 양반 라 만차의 돈 끼호떼"(El ingenioso hidalgo Don Quijote de la Mancha)라는 제목으로 1권을 펴내고, 1615년 "기발한 기사 라 만차의 돈 끼호떼"(El ingenioso hidalgo Don Quijote de la Mancha)라는 제목으로 2권을 펴낸 이래, [돈 끼호떼]는 "근대 유럽어로 쓰인 최초의 소설 가운데 하나" "에스빠냐어로 쓰인 최고의 소설" "인류의 책"(알베르 띠보데)이라는 평을 받으며 셰익스피어를 비롯한 전유럽어권 문호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두 권으로 구성된 [돈 끼호떼] 1권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중세 기사소설에 심취한 라 만차의 시골 양반 알론소 끼하노(Alonso Quijano)가 세상의 약자를 구원하고 정의를 드높이고자 하인 싼초 빤사와 함께 출정하여 겪는 모험담이다. 돈 끼호떼는 자신의 말 로신안떼('농사용 말'이란 뜻)를 타고 에스빠냐 전역을 유랑하며 모험을 벌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미친 사람으로 비치는 그는 객줏집을 성으로 오해하고 그곳의 농사꾼 처녀들을 아름다운 공주로 착각한다. 풍차를 악의 화신인 거인으로 생각해 결투를 벌이고, 귀부인의 수행원들을 납치범으로 오해하며, 양 떼를 불의의 무리로 여겨 공격한다. 그는 특히 인근 동네에 사는 한 농사꾼 처녀를 자신의 사랑과 충성을 바칠 이상형 여인 "엘 또보소의 둘시네아"로 명명하고 그녀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세상의 불의와 싸운다. 작품 속에서 둘시네아는 미모와 덕성으로써 돈 끼호떼에게 계속해서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존재이지만, 실제로 그녀가 등장하는 장면은 한군데도 없다는 것도 역설적인 대목이다. 돈 끼호떼와 싼초 빤사는 가지각색의 천신만고 끝에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온다. 이것이 1권 이야기의 끝이다. 2권에서 두 사람은 다시 출정해 모험을 벌이는데,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의 성격은 변모하기 시작한다. 단순하고 어리석은 싼초 빤사는 애초에 자신의 주인이 제정신이 아니란 것을 알면서도, 그리고 "진짜 둘시네아"는 세상 어디에도 없음을 알면서도 세상의 부를 거머쥐기 위해 모험을 계속하는 현실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2권에서 돈 끼호떼는 점차 기사소설의 미몽에서 깨어나 현실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는 한편, 싼초 빤사는 주인과 교감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점차 그의 이상주의를 닮아가며 급기야는 임종을 앞둔 돈 끼호떼에게 죽지 말고 네번째 출정에 나설 것을 간청하기까지 한다.
이처럼 소설의 전개과정에서 돈 끼호떼와 싼초의 현실주의는 극적인 반전을 이룬다. 돈 끼호떼의 이상과 싼초의 현실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진실과 허구 사이의 경계도 희미해진다. [돈 끼호떼]의 탁월함은 바로 이러한 인물의 역동적 성격화에 토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역동적 성격화에는 현실은 정적이고 고착화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것이라는 작가의 현실관이 투영되어 있다. 17세기를 주름잡던 기사소설의 권위를 무너뜨리기 위해 쓰기 시작했다는 이 대작은 인간이 지닌 온갖 역설을 한 몸에 구현한 주인공을 창조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한 시대를 넘어선 불후의 고전으로 남았다.
또한 저자 스스로 자신이 쓴 것이 아니라 아랍 작가 시데 아메떼 베넹헬리(Cide Hamete Benengeli)의 작품을 번역한 것이라는 진술을 작품 곳곳에 남김으로써 다성적 목소리를 지닌 서사라는 측면에서 많은 연구과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원문의 맛을 살리는 적확한 번역 상세한 역주를 통한 친절한 주해판본 세르반떼스의 문체적 특성이나 유음이의어(類音異義語)를 이용한 말놀이 등 풍부한 수사법을 살린 이 판본은 무엇보다 "원문의 맛을 살리는 번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1. 특정 판본을 번역 저본으로 하지 않고 정확한 주석으로 정평 있는 마르띤 데 리께르(Mart?n de Riquer) 역주 Miguel de Cervantes Saavedra- Don Quijote de la Mancha (Editorial Juventud, Barcelona- 1968)를 중심으로 비센떼 가오스(Vicente Gaos) 존 제이 앨런(John Jay Allen) 아메리꼬 까스뜨로(Am?rico Castro) 등 여러 연구서를 종합해 저자의 의도에 가장 근접한 해석이 되도록 했다.
2. 중세소설의 특징인 긴 장제목과 원서 체제를 그대로 따르고, 원문의 오자와 원저자의 실수까지 그대로 옮긴 뒤 옮긴이 주를 달아 원서의 참맛을 느끼도록 했다. 3. 유음이의어를 비롯한 언어유희가 많은 저자의 문체 특성과 수사법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우리말에서 유사한 말들을 찾아 넣고 맥락에 맞는 문장으로 옮겼다. 4. 중세 기사소설과 유럽 고전의 인용 등을 모두 찾아 넣고 상세한 역주를 달았다.
Changbi Publishers
저자 - 미겔 데 세르반테스
1547년 9월 29일 에스빠냐 마드리드 근교의 대학도시 알깔라 데 에나레스에서 태어났다. 1571년 터키군에 대항한 레빤또 해전에 참전해 왼팔을 잃는 부상을 당한 뒤 이딸리아 각지를 여행했다. 1575년 귀국길에 마르세유 근방에서 형 로드리고와 함께 터키 해적들에게 사로잡혀 알제리에서 포로생활을 했다. 로드리고가 1577년에 풀려난 반면, 세르반떼스는 다섯번의 탈옥시도 끝에 노예로 팔려가기 직전인 1580년에야 에스빠냐 종교단체의 보상금 지원으로 석방됐다. 1585년 첫 목가소설 [라 갈라떼아]를 출판했으며, 왕립재정부 근무를 위해 쎄비야로 이사했다. 1587년부터 무적함대의 지원병참 참모로 일했는데, 1597년 쎄비야 은행이 파산하자 공금횡령죄로 수감되었다. 이때부터 [돈 끼호떼]를 쓰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603년에 수도 바야돌리드로 이주한 뒤 1605년 마침내 마드리드에서 [돈 끼호떼] 1권을 출간했다. 이후 [모범소설들](1613) [시인들의 성지 파르나소스로의 여행](1614) [돈 끼호떼] 2권(1615) 등과 [극작품들과 단막극들](1615)을 출간하며 죽는 날까지 창작열을 불태우다가 1616년 4월 22일 마드리드 중심가의 어느 작은 집에서 향년 68세로 생을 마감했다. 다음 날인 4월 23일 뜨리니다드 수도원에 묻혔다고 전해지나 유해나 무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역자 - 민용태
1943년생. 한국외대 서반아어과를 졸업하고 에스빠냐 마드리드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스빠냐 메넨데스 �y라요 국제대학과 한국외대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고려대 서문과 명예교수,에스빠냐 왕립한림원 위원으로 있으면서 한국 고전시가와 현대시를 에스빠냐어로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다. [스페인 문학 탐색] [라틴아메리카 문학 탐색] [서양문학 속의 동양을 찾아서]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마마 그란데의 장례식] [마추삐추의 산정] [태양의 돌] 외 다수의 역서가 있다. 1968년 [창작과비평] 겨울호로 작품활동을 시작한 이래 한국어 시집 [시간의 손] [시비시] [나무 나비 나라] [봄비는 나폴리에서 온다]등과 [F?bula](우화) [La Lluvia tiene 11 a?os](비는 11살) 등 에스빠냐어 시집을 출간해 한국시문학상과 마차도(Machado)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