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테, 바이마르에 오다

· 창비세계문학 Βιβλίο 55 · 창비 Changbi Publishers
ebook
576
Σελίδες

Σχετικά με το ebook

20세기 독일 문학의 거장 토마스 만의 대표작 초역

불멸의 천재 괴테에 관한 가장 완벽한 문학적 기록

 

독일 현대문학의 거장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토마스 만이 망명 시절에 펴낸 대표작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가 창비세계문학 55번으로 국내 초역되었다. 『젊은 베르터의 고뇌』의 바로 그 여성이자 이제는 60대 노부인이 된 로테가 1816년 괴테의 도시 바이마르를 방문해 재회한 실화를 바탕으로, 괴테의 인간상과 문학세계를 깊이 파고든다. 20세기 초, 독일 문학의 전통을 잇고 되짚으며 다시금 세계문학의 지평으로 끌어올린 토마스 만은 자신과 독일 문학사에 연원과도 같은 불멸의 기념비 괴테를 통해 예술과 예술가, 인간의 정신과 삶 같은 묵직한 주제들을 대가의 솜씨로 풀어낸다. 토마스 만은 괴테의 작품과 관련 사료 들을 촘촘하게 엮어넣으며 괴테를 탐구하는 동시에 자신의 문학적 주제들을 성찰하고 전진시키는 대담하고 야심찬 시도를 달성해낸다. 괴테와 토마스 만이라는 두 거대한 작가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한 까닭에 그동안 쉽사리 번역되지 못하던 작품을 독문학자이자 괴테 연구자인 임홍배 서울대 교수가 면밀한 독해와 수준 높은 번역으로 소개하고 있다.

 

 

사랑하는 여인은 다시 나타나 입을 맞추지

언제나 젊은 모습으로

 

“심각한 일은 그때부터 시작되었어요. 소설이 나왔으니까요. 저는 불멸의 연인이 되었고요. 그렇지만 단연코 제가 소설에 등장하는 유일한 여성은 아니었어요. 여럿이 함께 춤추는 윤무니까요.”(151면)

 

“새파랗게 젊었지만, 이미 예술을 위해서라면 얼마든지 사랑과 인생과 인간을 배반할 용의가 있었어. 결국 일을 저질렀지. 라이프치히 도서전에 『젊은 베르터의 고뇌』를 내놓았지. 사랑하는 벗들이여, 격분한 이들이여, 나를 용서해주게.”(383면)

 

1816년 가을, 시성(詩聖) 괴테의 도시 바이마르에 한 노부인이 동생 부부를 방문하러 온다. 단출히 딸과 하녀를 대동한 노부인은 호텔 숙박부에 ‘샤를로테 케스트너, 결혼 전 성 부프’라고 적는다. 순식간에 온 도시에 『젊은 베르터의 고뇌』의 그 ‘로테’가 찾아왔다는 소식이 퍼지며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고, 방문객들이 하나둘 찾아와 대화를 청하기 시작한다. 로테는 괴테를 둘러싼 다양한 이들을 차례로 만나 “예술의 사제” “정신적인 존재”로 저 높이 군림하고 있는 괴테에 대한 대화를 나누게 된다.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는 당대 최고의 인기작이자 천재의 등장을 알린 출세작 『젊은 베르터의 고뇌』 이후 로테와 괴테, 두 사람이 44년 만에 재회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이 소설에서 묘사한 대로 이들의 재회는 세간의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지만, 관련 기록을 살펴보면 별다른 극적인 사건은 없었다. 그러나 토마스 만은 이 심상한 재회를, 그것도 괴테가 아닌 로테를 내세워 독일 문학사에서 가장 거대한 존재를 새롭게 조명하는 이야기로 만들어낸다.

작품은 모두 9개의 장으로 되어 있는데, 로테가 바이마르에 도착하고 호텔에서 방문객들을 차례로 만나 대화를 나누는 내용이 6장까지 이어진다. 7장에서 처음으로 괴테가 홀로 등장해서 내적 독백을 이어가는데, 토마스 만이 이 장을 집필하며 괴테의 내면과 “형언할 수 없는 신비로운 합일”을 이루었다고 말한 바 있는 인상적인 서술이 펼쳐진다. 8장에 이르러 괴테가 로테 일행 및 앞서 등장했던 인물들을 초대해 점심식사 자리를 가지면서 두 사람의 만남이 성사된다. 이 자리에서 로테는 추종자들에 둘러싸여 신전의 석상처럼 추앙받는 괴테의 위상을 목격하며, “고독하고, 이해받지 못하고, 절친한 벗도 없는 차가운 인생”, 혹은 위대함을 위해 다른 이들을 제물 삼는 “시인의 제왕”의 모습을 지켜보게 된다. 마지막 장에서야 로테는 괴테와 단둘이 곡진한 대화를 나누게 되고, 두 사람은 짧지만 깊은 교감을 나누며 마침내 화해의 이별에 이른다. 하지만 대화의 끝에 이는 괴테의 ‘환영’과의 대화였음이 드러나고, 괴테와 토마스 만, 그리고 로테의 목소리가 두 작품의 겹겹을 오가며 의미심장한 공명을 이루며 끝을 맺는다.

 

 

신의 이름은 수백개지만 결국 오직 하나

 

“사람들은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지만, 결국 신이 제물이야. (…) 사랑스럽고 천진난만한 그대에게 말하건대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곧 제물이자 제물을 바치는 사람이야. 한때 당신을 향해 불탔고, 지금도 언제나 당신을 향해 불타서 정신과 빛을 발하는 거야.”(535면)

 

이 작품은 괴테에게 사랑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로테를 중심으로 이어진다. 숱한 편력을 거친 노년의 괴테는 이제 “정신적으로 고양된 삶이기에 더 풍성한 사랑”을 한다. 이는 괴테의 사랑이 언제나 창작의 원체험으로서 한 개인이 아닌 더 높은 세계로 향하는 것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누구보다 더 ‘위대함의 제물’이었던 로테를 통해 괴테의 삶과 예술을 여실하게 돌아볼 수도 있게 된다. 괴테의 세계를 관통하는 ‘구원의 여성성’이 이 소설에서는 로테를 통해 구현되며, 신의 자리에서 내려온 괴테의 모습을 드러내는 계기를 만든다. 그리고 로테는 “제물이자 제물을 바치는 사람”인 괴테와 마침내 화해하며 ‘수많은 이름을 가졌으나 결국 하나의 유일자’로서 자신의 사랑을 확인한다.

 

괴테라는 신화, 작가라는 과업

 

“사상가들은 사유에 관해 사유하지. 그럴진대 작가가 작가에 관해 사유하지 말라는 법이 있나. 작품이라는 것도 그런 사유의 결과물이고, 모든 작품은 결국 작가라는 현상에 대한 부질없는 천착이 아닐까?”(390면)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는 토마스 만이 히틀러 치하 독일을 떠나 망명하던 시절에 집필해서 망명지 미국에서 마무리했고, 독일 점령지를 피해 스웨덴에서 첫 출간을 해야 했다. 망명 시절 토마스 만의 작품들에는 나치즘에 맞서는 고투가 담겨 있는데,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정권을 거치며 찬란한 독일민족의 상징으로 신화화되어버린 괴테를 다룬 것 역시 그 고투의 산물이었다. 괴테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승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곧 독일정신과 민족주의에 대한 성찰과 투쟁이었고, 이 작품은 괴테라는 신화를 돌아보게 하는 동시에 당시 독일사회의 야만과 광기에 대한 비판과 경고를 담는다.

작가로서도 토마스 만은 일찍이 괴테를 ‘넘어설 수 없는 모범’으로 여겼기에, 괴테에 대해서 쓴다는 것은 자신의 작가적 정체성을 묻는 일이기도 했다. 스스로 “신비로운 합일”을 이뤘다고 말할 정도로 괴테의 내면과 작품세계에 대한 유례없는 비평과 탐구를 보여주며 괴테 이후의 독일 문학과 자신의 예술세계에 대한 성찰로 나아간다. 토마스 만은 괴테가 남긴 방대한 문학적 자산을 능수능란하게 씨줄 날줄로 엮으며 마치 음악작품처럼 정밀하게 구성하여 한편의 독자적인 작품으로 완성시킨다.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는 토마스 만이 쓴 가장 실험적이고 밀도 높은 작품의 하나로, 거장의 솜씨로 “완벽한 작품”의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다.

 

 

‖ 차례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

 

작품해설 / 토마스 만, 망명지에서 괴테 신화를 다시 쓰다

작가연보

 

발간사

 

 

‖ 책 속에서

 

“바로 그때, 그녀 자신이 실제로 그런 일을 겪지는 않았다는 사실이 퍼뜩 떠올랐다. 그것은 실제 현실보다 더 위대한 현실이었다.”(39~40면)

 

“심각한 일은 그때부터 시작되었어요. 소설이 나왔으니까요. 저는 불멸의 연인이 되었고요. 그렇지만 단연코 제가 소설에 등장하는 유일한 여성은 아니었어요. 여럿이 함께 춤추는 윤무니까요.”(151면)

 

“인생의 절정은 사랑이고, 사랑의 절정은 입맞춤이지. 입맞춤은 사랑의 시(詩)이자 뜨거운 열정의 봉인이며, 관능적이면서도 플라톤적이지. 정신으로 시작하여 육신으로 끝나는 성사(聖事)의 중심이야. (…) 세상에 둘도 없는 사람의 머리를 양손으로 감싸안고 몸을 젖힌 채 눈썹 아래로 미소를 지으며 진지하게 감기는 상대방의 눈길을 나의 눈길에 담아 입맞춤으로 그 눈길에 응답하는 것이지. 그대를 사랑한다고. 모든 피조물 가운데 오직 그대만을, 하느님이 점지해준 소중한 그대만을 사랑한다고.”(382면)

 

“나는 아직 맹랑한 풋내기였지만 재기가 넘쳤지. 벌써 예술에 대해서나 사랑에 대해서나 나름대로 일가견이 있었고, 사랑을 하면서도 속으로는 예술을 염두에 두고 있었지. 새파랗게 젊었지만, 이미 예술을 위해서라면 얼마든지 사랑과 인생과 인간을 배반할 용의가 있었어. 결국 일을 저질렀지. 라이프치히 도서전에 『젊은 베르터의 고뇌』를 내놓았지. 사랑하는 벗들이여, 격분한 이들이여, 나를 용서해주게. 그럴 수만 있다면.”(383면)

 

“사상가들은 사유에 관해 사유하지. 그럴진대 작가가 작가에 관해 사유하지 말라는 법이 있나. 작품이라는 것도 그런 사유의 결과물이고, 모든 작품은 결국 작가라는 현상에 대한 부질없는 천착이 아닐까?”(390면)

 

“정신적인 존재가 별과 특별한 호칭을 달고 계단에 예술품이 전시된 집에 살면서 눈매가 형형한 우아한 노인으로 모습을 드러내면 사람들은 그런 정신적 존재에 너무 쉽게 복종하는 것 같았다. 노인은 저기 있는 유피테르상처럼 머리를 섬세하게 길렀고, 신들의 음식처럼 감미로운 입으로 말하고 있었다. 샤를로테는 정신적 존재란 가난하고 추하고 세속적 명예를 멀리해야 사람들이 과연 그를 존경하는지 제대로 시험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493면)

 

“구름이 형성되면서 형태가 바뀐다 해도 결국 똑같은 구름이 아니던가? 신의 이름이 수백개지만 결국 오직 유일자를 가리키고, 신이 사랑하는 자식들, 그대들을 가리키잖아? 인생은 형태의 변화일 뿐이고, 수많은 존재들 속에서도 통일성이 유지되고, 변화 속에서도 지속되는 것이지. 그런즉 당신과 그 여성, 그대들 모두는 나의 사랑 안에서는 유일자야. 내가 사랑 때문에 죄를 지었더라도 그건 변함없어.”(533면)

 

“사람들은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지만, 결국 신이 제물이야. (…) 사랑스럽고 천진난만한 당신한테 말하건대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곧 제물이자 제물을 바치는 사람이야. 한때 당신을 향해 불탔고, 지금도 언제나 당신을 향해 불타서 정신과 빛을 발하는 거야.”(535면)

 

 

‖ 작가의 말·추천사

“이 작품에서 나는 아름다운 천상에 떠오른 별 괴테와 신비적 합일을 이루었다.”

—토마스 만

“수년 동안 기다려온 가장 완벽한 작품이다. 이 소설을 통해 문학적 전기(傳記)는 최초로 완벽한 예술형식에 도달했다. 여기서 그려진 괴테의 초상은 후대에 유일무이한 본보기가 될 것이다.”

—슈테판 츠바이크



Changbi Publishers

Σχετικά με τον συγγραφέα

지은이

토마스 만(Thomas Mann, 1875~1955)

20세기 독일의 위대한 작가. 세계문학사에 빛나는 작품들을 남긴 거장이자, 유수의 평론, 산문 등을 발표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을 펼친 작가이다. 1875년 독일 북부 뤼베크에서 유복한 곡물상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894년 단편소설 「전락」을 처음으로 발표하고, 1898년 잡지 『짐플리치시무스』 편집부에 근무하던 20대 중반에 첫 소설집 『키 작은 프리데만 씨』를 출간한다. 1901년, 뤼베크의 상인 가문을 다룬 첫 장편소설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로 문학적 명성을 얻었고, 1903년에 「토니오 크뢰거」가 수록된 소설집 『트리스탄』, 1913년 중편소설 『베네찌아에서의 죽음』을 출간한다. 이후 11년 만에 내놓은 장편소설 『마의 산』(1924)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192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다. 1933년 유럽 여행 중 히틀러가 집권하자 귀국하지 않고 스위스에 체류하며 대작 『요셉과 그의 형제들』 4부작을 펴내기 시작한다. 1936년 독일 국적을 포기하고 1938년 미국으로 망명한 뒤 집필과 강의 활동을 하며 머물렀고, 전쟁 기간에는 영국 BBC를 통해 나치를 비판하는 ‘독일 청취자들에게 고함!’이라는 라디오 방송을 4년 6개월간 60여회 진행한다. 이 시기에 망명 시절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장편소설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1939)가 나치의 핍박을 피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출간되고, 종전 직후 1947년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한 작품이라고 평한 『파우스트 박사』를 내놓는다. 1952년 스위스로 돌아와 『고급 사기꾼 펠릭스 크룰의 고백』 1부를 출간하나 미완으로 남긴 채 1955년 8월 취리히에서 병환으로 사망했다.

 

옮긴이

임홍배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괴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및 훔볼트 대학에서 수학했다. 서울대 독문학과 교수이자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독일 고전주의』 『괴테가 탐사한 근대』 『독일 명작의 이해』(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진리와 방법』(공역) 『파우스트 박사』(공역) 『젊은 베르터의 고뇌』 『어느 사랑의 실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루카치 미학』(공역) 등이 있다.

Αξιολογήστε αυτό το ebook

Πείτε μας τη γνώμη σας.

Πληροφορίες ανάγνωσης

Smartphone και tablet
Εγκαταστήστε την εφαρμογή Βιβλία Google Play για Android και iPad/iPhone. Συγχρονίζεται αυτόματα με τον λογαριασμό σας και σας επιτρέπει να διαβάζετε στο διαδίκτυο ή εκτός σύνδεσης, όπου κι αν βρίσκεστε.
Φορητοί και επιτραπέζιοι υπολογιστές
Μπορείτε να ακούσετε ηχητικά βιβλία τα οποία αγοράσατε στο Google Play, χρησιμοποιώντας το πρόγραμμα περιήγησης στον ιστό του υπολογιστή σας.
eReader και άλλες συσκευές
Για να διαβάσετε περιεχόμενο σε συσκευές e-ink, όπως είναι οι συσκευές Kobo eReader, θα χρειαστεί να κατεβάσετε ένα αρχείο και να το μεταφέρετε στη συσκευή σας. Ακολουθήστε τις αναλυτικές οδηγίες του Κέντρου βοήθειας για να μεταφέρετε αρχεία σε υποστηριζόμενα eReader.

Συνεχίστε τη σειρά

Περισσότερα από τον χρήστη 토마스 만

Παρόμοια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