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 Google Play Books
4,2
100 atsauksmes
E-grāmata
29
Lappuses

Par šo e-grāmatu

[도서소개]
이 상(李箱, 1910-1937) : 서울 출생. 본명 김해경(金海卿). 경성공고 건축과를 졸업하고 1931년 시 이상한 가역반응(可逆反應), 파편의 경치 등을 조선과 건축에 발표하는 한편 이 해 조선미술전람회에 양화 '자화상'을 출품, 입선했다. 1932년 역시 조선과 건축에 시 건축 무한 6면각체를 발표하면서 이상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조선과 건축에 발표된 그의 초기 시들은 주로 일본어로 씌어져 있는데, 내용이나 형식이 실험적이고 이색적이어서 당시의 문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난해한 문학은 우리나라 최초의 의식세계에 대한 추구였으며 지금도 일부 추종자 또는 유사한 시도를 낳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934년 대표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 학예란에 연재, 항의와 투서가 하루에도 수십 차례씩 신문사로 날아들었다. 다방과 카페를 차렸다가 실패한 그는 아우 운경의 청소부 봉급으로 생활을 지탱해 갔으며 방세를 못내 거리로 쫓겨나기도 했다. 1936년 친구인 화가의 여동생과 결혼했으나 생활은 비참했고 몸은 극도로 쇠약해졌다. 이해 도일, 이듬해 도쿄 거리를 굶주림과 병마에 시달리며 배회하다 사상불온 혐의로 일경에 체포되기도 했다. 일생의 결산과도 같은 장편 종생기를 남기고 그해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죽었다.

Vērtējumi un atsauksmes

4,2
100 atsauksmju

Par autoru

이 상(李箱, 1910-1937) : 서울 출생. 본명 김해경(金海卿). 경성공고 건축과를 졸업하고 1931년 시 , 등을 에 발표하는 한편 이 해 조선미술전람회에 양화 '자화상'을 출품, 입선했다. 1932년 역시 에 시 를 발표하면서 이상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에 발표된 그의 초기 시들은 주로 일본어로 씌어져 있는데, 내용이나 형식이 실험적이고 이색적이어서 당시의 문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난해한 문학은 우리나라 최초의 의식세계에 대한 추구였으며 지금도 일부 추종자 또는 유사한 시도를 낳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934년 대표시 를 학예란에 연재, 항의와 투서가 하루에도 수십 차례씩 신문사로 날아들었다. 다방과 카페를 차렸다가 실패한 그는 아우 운경의 청소부 봉급으로 생활을 지탱해 갔으며 방세를 못내 거리로 쫓겨나기도 했다. 1936년 친구인 화가의 여동생과 결혼했으나 생활은 비참했고 몸은 극도로 쇠약해졌다. 이해 도일, 이듬해 도쿄 거리를 굶주림과 병마에 시달리며 배회하다 사상불온 혐의로 일경에 체포되기도 했다. 일생의 결산과도 같은 장편 를 남기고 그해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죽었다.

Novērtējiet šo e-grāmatu

Izsakiet savu viedokli!

Informācija lasīšanai

Viedtālruņi un planšetdatori
Instalējiet lietotni Google Play grāmatas Android ierīcēm un iPad planšetdatoriem/iPhone tālruņiem. Lietotne tiks automātiski sinhronizēta ar jūsu kontu un ļaus lasīt saturu tiešsaistē vai bezsaistē neatkarīgi no jūsu atrašanās vietas.
Klēpjdatori un galddatori
Varat klausīties pakalpojumā Google Play iegādātās audiogrāmatas, izmantojot datora tīmekļa pārlūkprogrammu.
E-lasītāji un citas ierīces
Lai lasītu grāmatas tādās elektroniskās tintes ierīcēs kā Kobo e-lasītāji, nepieciešams lejupielādēt failu un pārsūtīt to uz savu ierīci. Izpildiet palīdzības centrā sniegtos detalizētos norādījumus, lai pārsūtītu failus uz atbalstītiem e-lasītāji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