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제 해피엔딩을 위한 생각 바꾸기를 해보자 지금 당신은 헤어진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혹은 헤어지기를 마음먹은 후 불안한 상태일 것이다. 내가 그것을 이겨낼 수 있을까, 혹은 상대방에게 그런 상처를 주어도 되는지 무척 고민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고쳐 생각해봐도, 다시 이 상태로 지속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이미 생각했을 것이다. 우리는 수없이 많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해피엔딩을 봐왔다. 그러나 ‘천년만년 행복하게 잘 살았다 ...’라는 해피엔딩은 그저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나 나올 법한 일이다. 수많은 미디어는 현실에서 그다지 해피엔딩이 많지 않기에 대리만족을 위한 해피엔딩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머릿속에 있는 그런 종류의 해피엔딩을 부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다는 의미다. 그것은 심지어 조작된 것이기도 하다. 결국 자신의 해피엔딩은 본인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 뿐이다. 자신의 생각을 바꿈으로서 지금의 고통과 슬픔, 상처를 해피엔딩으로 만들 수가 있다. 여기에서는 아무런 객관성이 필요 없다. 어차피 사랑이라는 마음의 문제에서 ‘객관’이라는 것이 가능하지가 않다. 누가 잘했냐, 잘못했느냐를 따지는 것도 의미가 없다. 그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사람마다 다르게 말한다. 심지어 과거의 연인과 서로 생각이 달랐기 때문에 헤어진 것이 아니었는가? 이런 상황에서 ‘객관’을 따지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나 마찬가지다. 이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이제까지의 모든 것들을 인정하고 그저 생각을 바꿈으로써 지금의 상황을 헤피엔딩으로 바꾸는 일이다. 슬퍼하면 뭐하겠는가? 언젠가 당신은 다시 웃게 되어 있고, 지금의 고통도 미소 짓는 마음으로 되돌아볼 수 있는 시기는 반드시 오고야 만다. 따라서 지금의 이 고통을 계속 끌고 갈 필요가 없다. 빨리 끝내면 끝낼수록 당신의 인생에는 더욱 플러스가 된다. 따라서 당장 ‘생각 전환의 기술’을 통해서 지금의 고통을 줄여야 한다. 끝난 건 끝난 거다. 설사 당신이 ‘난 죽어버릴 꺼야’라고 말하고 실제 죽는다고 하더라도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당신의 죽음으로 상대방이 이별을 후회한다고? 그게 도대체 몇 년이나 가겠나. 그 사람은 다시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가 또 애인을 만들고 결혼을 하고 자식을 키울 것이다. 이제부터 당신이 해야 할 것은 당신의 행복을 위한 극단의 이기주의자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처는 생각보다 빨리 아물 것이며, 얼마가지 않아 아무렇지도 않았다는 듯, 다시 평온과 안정의 시간이 찾아올 것이다. 자, 그럼 이제 함께 시작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