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나라의 교육은 그 나라만의 사회문화적인 환경과 역사에 바탕하고 있고, 국민들 간의 치열한 의사소통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니만큼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무작정 가져다 쓴다고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보육, 학교, 입시, 직업교육까지 10개 국의 교육제도와 교육 전망, 그 한계까지 다룬 이 책은 우리 아이들과 우리 사회에 맞는 교육법을 고민하는 선생님, 학부모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저 : 김성현
교실의 다양한 수업 방법과 평생 학습 습관인 독서토론논술에 관심을 두고 현장연구가로서 매진하고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Curtin University Language Course, 연세대학교 TESOL, Cambridge University ICELT, 고려대학교 한국어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신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다. 전국의 교육청과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 등에서 교사를 위한 직무연수와 학부모교육 특강을 진행하였고, 한국교원연수원, i-Scream 원격교육연수원 등에 직무연수가 개설되어 있다. 지은 책으로는 《교과수업, 틀을 깨다》 《독서 토론 논술 수업》 《아이들과 함께 놀자》 외 여러 권이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 교육 칼럼을 쓰고 있다.
홈페이지 www.flowedu.com
이메일 flowedu@naver.com
저 : 김은혜
미래 교육과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고, 사랑스러운 두 자녀와 함께 여행하는 것을 좋아한다. 중앙대학교 영어교육과와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다시 부산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원 양성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검정고시 출제위원, ‘살아 있는 교과서 체험전’(소년조선일보)의 자문 및 감수 등을 맡고 있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다. 교사로서 오랫동안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는 엄마 입장이 되면서 겪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적응하는 데 꼭 필요한 정보들을 모아 이 책에 담았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초등부모학교》 《하루 10분 부모수업》 등이 있다.
이메일 kehssam@naver.com
저 : 류선정
핀란드 이위베스퀼레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 리더십을 전공하고 현재 헬싱키에서 한국ㆍ핀란드 교육연구센터(OPINKOTI)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핀란드 교육을 연구하고 있고 한국 교원들의 핀란드 교육 연수를 기획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핀란드 교육연구원 및 주핀란드 한국 대사관 교육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 : 나승빈
‘함께 있어 행복한 우리’라는 교육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고, ‘내일이 두렵지 않은 준비된 교사 되기’ 운동을 하고 있다. tvN 〈수업을 바꿔라〉 8화에 초등학교 교사로 출연했다. 지은 책으로 『핵심 역량을 키우는 수업 놀이』, 『함께 있어 행복한 우리 나승빈 선생님의 첫 만남 프로젝트』 등이 있다.
저 : 김봉선
아이스크림(i-Scream) 연수원 연수콘텐츠기획 팀장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교사 리더십 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교육은 학생, 부모, 정부 모두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이다. 경쟁, 협동, 자율 그 어느 것도 완벽한 답이 될 수 없겠지만, 세계 교육 체계의 장단점을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교육 체계, 각 개인에 맞는 교육 방법을 찾아가는 데 도움이 되고자 이 책을 기획했다.
저 : 정수정
독일에서 교육학을 전공한 독일 교육 전문가로 독일 기센대학교 교육학과 연구소에 있으면서 한국교육개발원 독일 통신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우수 통신원으로 네 차례 표창을 받았으며, 다양한 저술 활동과 강연을 통해 독일 교육을 소개하며 우리나라 교육 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저 : 최세용
동산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고, 다른 나라의 선진 교육 사례를 보며 우리나라에 맞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교육 시스템이 뿌리 내리길 바라며 미국편 원고를 집필했다. 공저로 『바로미와 함께하는 좌충우돌 재판이야기』 3, 4권을 썼고, 아이스크림 원격교육연수원 〈고전읽기지도법〉을 강의하고 있다.
저 : 문보현
일본 나고야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미에단기대학 지역문제연구소를 거쳐 아이치 총합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나고야 국제센터에서 이주노동자 주민권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적 권리 보장을 위한 연구와 현장 상담원 활동을 하고 있다. ?
저 : 김숙이
대만 국립정치대학교에서 교육행정 및 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만 교육과 중국 교육행정 및 고등교육, 학교 안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 유학생 박사과정 강의 및 논문 지도도 하고 있으며, 사회봉사활동으로 이중언어강사를 지원하는 중국어 멘토로서 의미 있는 삶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