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라드
1787년부터 1816년까지를 괴테의 고전주의 시대라고 한다. 이 시기 괴테는 ≪로마 비가≫와 ≪베네치아 에피그람≫, ≪크세니엔≫ 등 그리스 로마 시대의 문학 형태를 통해 고대의 예술 정신의 회복을 추구했다. 그러나 고전주의가 고대로의 방향 전환에만 초점을 맞춘 것은 아니다. 괴테는 다양한 형태의 발라드를 통해 미학적 성찰에 활기를 불어넣는 문학적 실험을 시도했다. 프랑스 혁명이라는 전 유럽을 뒤흔든 사건을 겪으면서 그는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 즉 공동생활에서 사랑과 행복이 가능할 수 있는 조건과 방해물이라는 테마를 형상화하고 있다.
사교의 노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괴테는 기회시, 풍자시, 자연시,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의 시 쓰기를 시도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사교적인 노래들’이다. 이 시들은 모두 노래로 부를 수 있는 시들로, 대부분의 작품이 카를 프리드리히 첼터에 의해 노래로 작곡되었다. 교양 있는 사교와 그런 사교를 통해 실현된 “사교적 교양”은 프랑스 혁명이 초래한 문화의 붕괴에 대한 괴테의 대답이었다. 괴테는 인간의 공동생활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와 문명화된 형태들로 프랑스 혁명과 이에 따른 문화적 붕괴에 대항하려고 했다.
소네트
괴테는 낭만주의자들이 부활시킨 소네트를 처음에는 그다지 반기지 않았다. 엄격한 그 형태를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고전주의 시대에 이르러 성숙해진 괴테의 정신은 드디어 소네트에 딱 들어맞게 되었다. 소네트는 규칙을 중시하는 엄격한 형태의 시로, 그 근본적인 사상은 ‘정신의 훈육’이다. 소네트의 중심 테마는 열정과 그 열정의 제어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엄격한 형태로 표현된다. 열정과 체념의 양극성은 뜨거운 사랑의 언어와 엄격한 시 형태 사이의 긴장을 유발한다. 이 소네트를 마지막으로 괴테의 고전주의 시대는 막을 내리고 노년 시대의 문이 열린다.
지식을만드는지식 ≪괴테 시선 V≫에는 괴테의 고전주의 서정시 24편, 사교시 7편, 발라드 14편, 소네트 17편을 수록했다. 한국괴테학회 회장을 지낸 임우영 교수는 정확한 번역과 함께 당시 시대 상황과 작품의 배경, 인간관계, 작품이 풍자하는 대상 등을 자세한 해설과 주석으로 제시해 작품을 좀 더 정확하고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