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히너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오늘날 그 작품성 내지 문학성을 두고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비록 작가가 작품 텍스트의 6분의 1을 역사기록에서 발췌했다고는 하나 이것이 작품의 문학성을 전혀 훼손하지 않는 이유는 이 6분의 1이라는 (죽은) 역사기록이 나머지 6분의 5라는 뷔히너의 창작 텍스트, 즉 콘텍스트에 의해 피와 살을 지닌 생생한 언어로 부활하기 때문이다. <당통의 죽음>이 <보이체크>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매년 독일 유수(有數) 극장의 레퍼토리에서 빠지지 않고, 세계 각지에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되고 있음은 이 작품의 문학성을 웅변해준다.